일년 24절기 중 22번째 절기가 동지(冬至)다. 동지를 기점으로 짧았던 낮 시간은 하지(夏至)까지 계속 늘어난다. 이런 까닭에 예로부터 동지를 새로운 해가 시작하는 것으로 여기고 '작은 설'로 삼아왔다. 또한 불자들은 동짓날 사찰에 가서 팥죽 공양을 올리고 새해 발원 성취를 기원하는 기도를 올려왔다.
올해 동지는 12월22일이다. 오늘날 팥죽만을 떠올리는 이들이 많겠지만, 옛 사람들은 동지를 큰 명절로 여겼다. <고려사>에는 동지 전후에 팔관회를 봉행했다는 기록이 내려온다. 불교에서도 동지를 중요한 명절로 여기고 동지불공을 올렸다. 오늘날에도 묵은해롤 보내고 새해를 맞음에 있어 재앙을 멀리하고 복덕을 구하는 '소원화복'의 마음을 담아 부처님 전에 소원을 담은 기도를 올린다. 이 무렵 가족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간절한 기도소리가 전국 사찰에서 끊이지 않는다.
'동지팥죽' 두 단어가 맞붙어 있는 게 자연스러울 정도로 동지하면 팥죽이다. 동짓날 팥죽을 먹는 이유는 팥의 붉은 색이 액운과 음기를 물리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양(陽)을 상징하는 붉은 색이 역귀(疫鬼)뿐만 아니라 집안의 모든 잡귀를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믿어졌다. 달력을 주고받은 풍습도 전해진다. <동국세시기>에는 동짓날 궁중의 관상감에서 달력을 만들어 올렸는데 임금님이 이를 모든 관원에게 나누어 주고 관원들은 다시 가까운 친지들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불교는 이러한 전통을 계승함과 동시에 '자비나눔' 실천이라는 의미를 더해 현대적 가치도 더하고 있다. 동지 전후로 전국 사찰에서 진행되는 보시행은 새로운 나눔 문화로 자리잡았다.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47 C동 105호 (우동 트럼프월드 마린아파트) 051-731-1223 본죽&비빕밥마린시티점 언제든 방문 환영합니다 WELCOME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