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 바로 팥죽이다. 동지에 먹는 팥죽이라 ‘동지팥죽’이라 부르며,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인다.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전에는 팥죽을 만들면 사당에 올려 동지고사를 지내고, 각 방과 장독 등 집안의 여러 곳에 놓아두었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었다. 팥의 붉은색이 음귀를 쫓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집안에 두면 악귀를 쫓아낸다고 생각한데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은 경사나 재앙이 닥쳤을 때 팥죽, 팥밥, 팥떡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 그래서 요즘도 고사를 지낼 때 팥떡을 해서 나누는 것이다. 식품의 측면에서도 팥이 지닌 좋은 효능이 여러 가지 존재한다. 건강학적으로 피부가 붉게 붓고 열이 나고 쑤시고 아픈 단독에 특효가 있으며, 젖을 잘 나오게 하고 설사, 해열, 유종, 각기, 종기, 임질, 산전산후통, 수종, 진통에도 효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지팥죽 만들기>
팥죽을 만들기 위한 준비물(4~5인분 기준)은 팥 3컵(500g), 멥쌀 1/3컵(70ml), 물 2.5리터, 새알심, 소금, 설탕 등이다.
동지 팥죽 끓이는 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팥은 딱딱하기 때문에 하루 종일 물에 담가 불리는 것이 좋다. 그리고 멥쌀도 씻어서 미리 불린다. 팥 3컵 일 때 멥쌀은 1/3컵 정도면 적당하다.
두 번째, 팥이 잠길 만큼의 물을 붓고 팔팔 끓여서 초벌 삶기를 한다. 15분 정도 삶으면 되고 삶고 난 물은 버리고, 삶은 팥만 건져낸다.
세 번째, 한 번 삶아낸 것과 물 2.5리터를 붓고 본격적인 팥죽을 끓인다. 초벌로 삶았지만 딱딱할 수 있으니, 오래 삶아주면 부드러운 팥이 된다. 팥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삶아주면 된다. 물이 너무 증발하면 중간 중간 물을 보충한다. 물량이 많으면 팥죽이 싱거워지니 유의해야 한다. 팥이 익은 상태는 손가락으로 눌러보면 안다. 부드럽게 으깨지면 잘 익은 상태다.
네 번째, 삶은 물은 따로 부어두고 팥만 건져낸다. 건진 팥에 삶은 물 2~3컵 정도를 붇고, 핸드블렌더로 곱게 갈아준다. 걸러낸 앙금을 그대로 두면 맑은 윗물과 무거운 앙금으로 분리가 된다.
다섯 번째, 맑은 윗물만 따로 부어서 이 물에 멥쌀을 끓인다. 쌀알이 부드럽게 퍼지도록 끓인다. 앙금을 넣고 쌀을 삶으면 뻑뻑한 앙금 때문에 부드럽게 익히기 힘들다. 꼭 팥 삶은 물과 앙금을 가라앉힌 윗물을 사용해야 한다.
소금이나 설탕은 끓이는 도중에는 넣지 않고 개인 기호에 맞게 타 먹을 수 있게 한다. 설탕을 넣으면 단팥죽이 된다. 기호에 따라 찹쌀가루로 새알심을 빚어 띄워도 좋다.
한편 매년 양력 12월 21일, 22일, 23일에 동지가 찾아오며,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 부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동지는 설 다음가는 작은설의 의미가 강해 동지를 지나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는 말이 전해진다.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부른다.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한다. 이처럼 우리 민족은 태양력인 동지에다가 태음력을 잇대어 태음태양력으로 세시풍속을 형성시켜 의미를 부여하였다.
출처 : 한국강사신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47 C동 105호 (우동 트럼프월드 마린아파트) 051-731-1223 본죽&비빕밥마린시티점 언제든 방문 환영합니다 WELCOME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