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국제연합(UN)이 정한 ‘국제 과일․채소의 해’이다.
과일과 채소가 식량안보와 함께 인류의 영양과 건강을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리고자 제정되었다고 한다.
‘국제 과일․채소의 해’는 신선 과일과 채소에 누구나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보장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암뿐만 아니라 당뇨, 심장병 등 만성질환과 비타민 등 미량 원소 결핍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는 계절에 상관없이 사시사철 먹을 수 있는 채소이다.
쓰임새가 많아 김치 외에도 국, 전골, 전, 나물, 볶음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노란 속잎으로 쌈을 싸먹기도 하고, 싹 채소 또는 어린잎 채소로 키워 샐러드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국가표준식품성분표에 의하면 배추 생 것 100g에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 5㎍, 비타민 C 10㎎, 칼슘 29㎎, 칼륨 222㎎, 0.5㎎이 함유되어 있다.
국내 배추 품종 육성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문헌상 13세기 고려시대부터 배추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으나, 본격적인 배추 육종은 1950년 우장춘 박사께서 환국하며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경제 상황이 열악하여 먹거리도 부족한 형편으로 채소 종자를 자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였다.
우장춘 박사 연구팀은 자가불화합성(Self-incompatibility, SI)을 이용한 채종 기술을 통해 국내 최초의 일대 잡종 품종인 ‘원예1호’ 종자를 개발하였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병에 강하며 수량도 많은 품종을 독자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1970년대부터는 민간 육종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기 시작하였고, 종자의 수출도 이루어졌다.
1980년대부터는 가을뿐만 아니라 여름, 겨울에도 재배할 수 있는 품종들이 각각 개발되어 사계절 내내 배추를 재배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채소 소비패턴은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다. 소비자들은 여전히 외관이 좋은 채소를 요구하고 있지만 동시에 몸에 좋은 기능성이 강조된 채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에서는 시판 품종보다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이 1.6배 높은 배추 품종 ‘원교20050호’을 육성하였다.
배추뿐 아니라, 고추의 경우에도 다양한 고추 육성계통 및 유전자원의 식후 혈당상승 억제물질(AGI) 활성을 분석하여 고추 잎의 AGI 활성이 당뇨병치료제와 비슷하며 기존에 육성된 품종 ‘원기 1호’ 대비 2.9배 정도 높은 ‘원기 2호’를 개발하였다.
지난해 국내 상위 5개 건강기능식품 회사의 매출이 20% 가까이 증가했다는 기사를 접했다.
코로나 19시대, 건강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쉽고 간단한 방법은 몸에 좋은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다.
몸이 필요로 하는 비타민, 무기질 등 각종 영양성분을 우리 땅에서 정성껏 연구해 키운 채소로 채워보면 어떨까 싶다.
출처 : 전업농신문(http://www.palnews.co.kr)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마린시티2로 47 C동 105호 (우동 트럼프월드 마린아파트) 051-731-1223 본죽&비빕밥마린시티점 언제든 방문 환영합니다 WELCOME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