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7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전통에서 배우는 음식건강] 왕에서 서민까지 즐겨 먹은 죽

죽이라고 하면 흔히 건강이 좋지 못하거나 소화기능이 떨어진 사람, 어린이들이 먹는 음식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아침에 밥 대신 죽이나 미음을 먹는 문화가 발달해 있었다. 조선 후기 농촌경제 정책서 (林園十六志)에서는 '매일 아침 죽 한 사발을 먹으면 위장에 좋다. 이것은 음식의 최묘결(最妙訣)이다'라며 죽의 효능을 칭찬했다. 죽은 이런 분위기 속에서 왕에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두루 즐기는 음식으로 인기를 누렸다. 이덕무의 문집 청장관전서에는 '서울 시녀(市女)들의 죽 파는 소리가 개 부르는 듯하다'는 대목이 나온다. 그가 살던 18세기에는 죽을 파는 장사꾼이 아침마다 골목을 울릴 정도로 흔했다는 얘기다. 임원십육지를 보면 서민들은 채소와 나물, 견과류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죽을 해 먹었다. 무죽, 시금치죽, 냉이죽, 잣죽, 참깨죽, 마죽, 연밥죽 등을 언급하고 있다. 백합이나 매화 등 꽃까지 죽을 쑤는 데 활용했으니 '떨어진 매화 꽃잎을 깨끗이 씻어서 눈 녹은 물에 삶는다. 흰 죽이 익는 것을 기다려 한데 삶는다'고 매죽(梅粥) 만드는 방법까지 소개하고 있다. 매화 꽃잎을 눈 녹은 물에 삶아 먹는다는 조상들의 정취는 지금 사람들로서는 따라가기 힘든 수준이다. 죽은 쌀을 불려 그대로 끓이거나 갈아서 끓이는데, 조선시대에는 끓이는 방법을 세심하고 다양하게 발전시켰다. 에 나오는 죽 조리법을 보자. '흰 죽은 돌솥에 쑤는 것이 가장 맛이 좋으며 그 다음이 무쇠솥이고 놋쇠나 구리로 만든 솥은 못하다. 물은 감천(甘泉)을 쓰는 것이 좋다. 천(泉)이 나쁘면 죽 빛깔이 누렇고 잘 되지 않는다.' 죽의 조리 방법도 다양했다. 쌀을 충분히 고아서 체에 밭친 미음에서부터 쌀을 맷돌에 굵게 갈아서 쑤는 원미(元味), 곡물을 갈아서 얻은 녹말로 쑨 의이(薏苡)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로 분화됐다. 의이는 원래 율무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조선시대에 죽의 한 종류로 불리게 됐다. 요리서인 에 보면 이의...

7가지 죽의 종류와 효능(흰죽, 팥죽, 콩죽, 녹두죽, 우유죽, 장국죽, 어죽)

흰죽 쌀에 물만 넣어 쑤기도 하고, 쌀을 곱게 갈아서 쑤기도 한다. 쌀은 대장암의 발생을 억제 시키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어준다. 섬유질 성분이 있어 해로운 중금속이 우리 인체에 흡수되는 것을 막아준다. 성인병 예방에도 좋다. 팥죽 팥을 삶아 으깨어 거른 물에 쌀을 넣고 쓴 죽으로, 동짓날에는 마치 설날에 떡국을 끓여 먹듯 팥죽을 쑤어 먹었다. 팥에는 비타민 B1이 아주 많이 들어 있어 각기병의 치료약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신경을 많이 쓰는 정신근로자나 수험생 등에게 더욱 좋은 식품이다. 또 신장병, 당뇨병 등에도 유효하다. 콩죽 흰콩을 갈아 쌀을 섞어서 쑨 죽으로 단백질, 지방, 칼슘 등 영양가가 풍부한 음식이다. 식욕이 떨어지는 봄철에 특히 좋고, 쑥을 넣어 끓이면 향기가 더욱 좋다. 녹두죽 녹두를 체에 걸러 가라앉힌 웃물에 앙금과 쌀을 넣어 쑨 죽. 녹두는 몸에 쌓인 노폐물을 해독하며 열을 내리고 식욕을 돋구는 역할을 한다. 필수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소화를 돕고 배뇨 작용도 뛰어나다. 그러나 몸을 차게 하고, 강한 해독 작용을 가지고 있다. 우유죽(타락죽) 찹쌀을 믹서나 맷돌에 갈아서 우유를 넣고 끓인 죽이다. 궁중에서 10월부터 보양식으로 먹던 음식이다. 허약증을 보하고 피의 생성을 촉진하며 오장육부 를 윤택하게 하므로 마른기침이나 변비는 물론 식도암, 위암으로 체력이 허 약한 암 환우가 먹으면 좋다. 장국죽 쇠고기를 잘게 썰어 갖은 양념하여 장국을 끓인 것에 쌀을 넣어 끓인 죽. 체 질적으로 태음인의 보약으로 좋은 장국죽은 기운이 없거나 빈혈이 있을 때 먹 으면 좋고 특히 비위장의 소화 기능을 촉진한다. 허리와 무릎을 보호하는 기 능도 있다. 어죽 생선을 푹 고아 그 물에 쌀을 넣어 만든 죽으로 생선은 기름기가 적고 신선 하며 맛이 담백하고 비린내가 적은 것을 사용하는데 도미, 붕어, 옥돔 등이 많이 쓰인다. 여름철 배앓이, 임산부의 산후조리, 숙취 등에 좋다. 메...